법률
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비교 및 선택 기준"알아보기
웃고보자
2024. 9. 10. 04:00
반응형
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해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이 두 가지 개념을 차근차근 비교하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또한 실생활에서 있을 법한 사례도 함께 들어 설명드릴게요.

1.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상대방이 받아서는 안 될 이득을 부당하게 얻었을 때, 그 이득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쉽게 말해, 상대방이 실수로 주지 않아도 되는 돈을 줬거나, 물건을 넘겼을 때 돌려달라는 권리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상대방에게 잘못이 없더라도 이 권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사례 1: 은행 송금 실수
A씨가 B씨에게 100만 원을 송금하려고 했으나, 실수로 C씨의 계좌로 보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만약 C씨가 그 돈을 돌려주지 않고 사용하려 한다면,
A씨는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여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C씨는 그 돈을 받을 이유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반드시 돌려줘야 하는 것이죠.
2.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이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상대방이 고의적으로 또는 과실로 나에게 손해를 끼쳤을 때 그 손해를 배상하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대방의 '잘못'이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즉, 상대방이 나에게 피해를 주었고, 그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배상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사례 2: 교통사고
A씨가 길을 걷고 있는데, B씨가 과속으로 운전하다가 A씨를 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씨는 이 사고로 인해 병원비가 발생했는데, 이때 A씨는 B씨의 과실(잘못)로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손해배상청구권을 행사하여 병원비 등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입니다.
3. 두 권리의 차이점

간단히 요약해보면:
- 부당이득반환청구권: 상대방의 잘못이 없어도, 받지 않아야 할 이득을 돌려줘야 합니다.
-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상대방의 잘못이 있을 때, 그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배상해야 합니다.
4. 어떤 상황에서 어느 청구권을 선택해야 할까요?
선택 기준:
- 상대방이 고의로 또는 과실로 나에게 손해를 끼쳤다면?
- →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상대방의 잘못이 명확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죠.
- 상대방이 잘못은 없지만 나에게 돌아가야 할 이득을 부당하게 가져갔다면?
- →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적합합니다. 송금 실수나 계약 미이행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5. 재미있는 사례로 더 쉽게 이해하기
사례 3: 친구끼리의 돈 거래
A씨가 B씨에게 차를 빌려줬고, B씨는 감사한 마음에 돈을 입금했으나 실수로 500만 원을 송금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A씨는 50만 원만 받을 생각이었는데, 500만 원이 들어온 것을 보고 그냥 사용해 버렸습니다.
이 경우 B씨는 A씨에게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B씨가 실수로 더 많은 돈을 보낸 것이니, A씨는 돌려줘야 하는 것이죠. A씨가 "그건 내가 받을 돈인 줄 알았어!"라고 주장한다면 법원에서는 "그건 말이 안 됩니다"라고 판단할 가능성이 큽니다.
사례 4: 친구의 장난이 큰 손해로!
다른 사례로, A씨와 B씨가 친구끼리 장난을 치다가, B씨가 실수로 A씨의 스마트폰을 떨어뜨려 액정이 깨졌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씨는 수리비가 발생했기 때문에 B씨에게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B씨의 실수로 인해 손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불법행위에 해당합니다.
정리하자면, 상대방의 고의나 실수가 있다면 손해배상청구권을, 고의나 실수가 없고 단지 실수로 인해 받은 이득이라면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시면 됩니다. 이 두 가지 권리를 상황에 맞게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자세한 법적 조언이 필요하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정도 설명으로 어느 상황에서 어떤 청구권을 사용해야 할지 감이 잡히셨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