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울 재개발 재건축 공사비 요약

웃고보자 2024. 6. 5. 23:00
반응형

 오늘은 서울 재개발 재건축 공사비에 대한 뉴스를 요약해서 전달해 드리려고 합니다.

요약 내용
최근 몇 년 동안 재개발 재건축 공사비가 급등했습니다. 제가 서울의 재개발 재건축 단지들의 공사비를 2015년부터 최근까지 조사해 본 결과, 공사비가 거의 두 배로 올랐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조사 방법
자료 출처: 옛날 클린업 시스템에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의 집행 공고를 분석했습니다.
공사비 결정 과정: 조합에서 시공사를 선정할 때 입찰을 통해 공사비를 결정합니다.

                            보통 조합이 상한가를 제시하고, 그 아래로 제시한 회사들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공사비 상승 원인
자재비 상승: 물가가 오르면서 자재비도 급등했습니다.
인건비 상승: 인건비 역시 공사비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고급화 요구: 조합들이 하이엔드 마감재와 고급화를 요구하면서 공사비가 올라갔습니다.

공사비 증가 사례
강북 지역: 3.3㎡ 당 공사비가 1천만 원을 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반포주공 1단지: 최초 공사비 2조 원에서 4조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조합과 시공사의 협상
물가 변동 조항: 계약서에 물가 변동 시 공사비를 조정할 수 있다는 조항을 넣어,

                         착공 이전에 공사비를 올릴 수 있습니다.
착공 이후: 착공 이후에도 공사비를 올리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드문 사례입니다.

입찰 조건
입찰 보증금: 대형 사업일수록 높은 보증금을 요구합니다.

                      예를 들어, 1,500억 원의 보증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컨소시엄 제한: 최근에는 컨소시엄을 허용하지 않는 조합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책임 소재 문제와 브랜드 정체성 약화 때문입니다.

입찰과 수의 계약
수의 계약: 최근 3년 동안 39곳 중 27곳이 수의 계약으로 시공사를 선정했습니다.
경쟁 입찰: 경쟁 입찰에서 특정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결론
서울 재개발 재건축 공사비는 최근 몇 년 동안 급등했으며, 

이는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 조합의 고급화 요구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입찰 과정에서의 다양한 조건과 전략도 공사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조사한 10년치 데이터는 엑셀 파일로 정리하여 공유할 예정입니다. 

고정 댓글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글쎄여 도움이 되시려나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