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주식

수출신고 시 필요한 수출허가증에 대해 알아보기

웃고보자 2024. 12. 20. 17:00
반응형

수출신고 시 필요한 수출허가증

 

1. 전략물자 수출허가증

  • 발급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대상품목: 무기, 군용물자, 이중용도 품목 등
  • 신청방법: 전략물자관리시스템(Yestrade)을 통한 온라인 신청
  • 처리기간: 일반적으로 15일 이내 (긴급 시 5일)
  • 유효기간: 보통 1년 (연장 가능)

 

2. 상황허가증 (Catch-all 허가)

  • 발급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대상: 전략물자는 아니지만 WMD 등에 사용될 우려가 있는 품목
  • 신청조건: 수출자가 용도/최종사용자 관련 우려정보를 인지한 경우
  • 처리기간: 일반적으로 15일 이내

 

3. 세관장확인 대상물품 허가증

  • 근거법령: 관세법 제226조
  • 대상품목: 농수산물, 의약품, 화장품, 식품, 전기용품 등
  • 발급기관: 품목별 소관부처 (농식품부, 식약처, 산업부 등)
  • 확인방법: 통관단일창구(UNI-PASS)를 통한 전자문서 확인

 

4. 경유·환적허가증

  • 발급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대상: 국내 경유/환적되는 전략물자
  • 신청방법: 전략물자관리시스템(Yestrade) 이용
  • 처리기간: 일반적으로 15일 이내

 

5. 원산지증명서

  • 종류: 일반 원산지증명서, FTA 특혜 원산지증명서
  • 발급기관: 세관, 상공회의소, 자유발급(자율발급) 등
  • 유효기간: 일반적으로 1년 (협정에 따라 상이)

 

6. 기타 품목별 특수 허가증

  • 농산물 수출허가증 (농식품부)
  • 수산물 수출허가증 (해양수산부)
  • 문화재 국외반출 허가증 (문화재청)
  • 야생동식물 수출허가증 (환경부)
  • 마약류 수출허가증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증 발급 절차

  1. 해당 품목의 HS코드 및 수출허가 필요 여부 확인
  2. 필요 서류 준비 (수출허가신청서, 계약서, 카탈로그 등)
  3. 해당 기관의 온라인 시스템 또는 방문을 통한 신청
  4. 심사 및 검토 (필요시 현장실사 진행)
  5. 허가증 발급 (전자 또는 서면)

 

주의사항

  • 허가증 유효기간 확인 및 갱신 필요
  • 수출 품목/국가 변경 시 재신청 필요
  • 허위 정보 제공 시 법적 제재 가능
  • 정기적인 관련 법규 및 규정 확인 필요

이러한 상세한 정보를 바탕으로 수출업체는 품목별, 국가별로 필요한 수출허가증을 정확히 파악하고 준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허가증의 특성과 발급 절차를 이해함으로써 수출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