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분양 물량 결정 기준 에 대하여 알아보기
웃고보자
2024. 12. 22. 18:00
반응형
일반분양 물량 결정 기준 (상세 버전)

1. 법적 기준
1.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제74조: 주택의 공급
- 제79조: 관리처분계획의 인가 등
1.2 주택법
- 제54조: 주택의 공급
2. 기본 산정 방식
일반분양 물량 = 전체 세대 수 - 조합원 분양 물량 - 보류지
3. 세부 결정 요인
3.1 사업 규모에 따른 기준
- 30세대 이상: 공개 모집 필수
- 30세대 미만: 임의분양 가능
3.2 용적률 증가
- 기존 용적률과 새 용적률의 차이가 클수록 일반분양 물량 증가
3.3 조합원 현황
- 조합원 수
- 조합원의 평균 대지지분
3.4 사업의 경제성
- 총 사업비
- 예상 분양가
- 기대 수익률
3.5 지역 주택 수요
- 청약 경쟁률
- 주변 시세
4. 일반분양 비율 결정 과정

- 사업 타당성 분석
- 조합원 총회 의결
- 관리처분계획 수립
- 관할 지자체 인가
5. 일반분양의 영향
5.1 긍정적 영향
- 조합원 분담금 감소
- 사업 수익성 개선
- 신규 주민 유입으로 지역 활성화
5.2 부정적 영향
- 과도한 일반분양 시 조합원 이익 감소
- 지역 주택 공급 과잉 가능성
6. 일반분양 물량 조정 방법
- 평형 조정
- 동·호수 배치 변경
- 보류지 활용
7. 분양 시기 결정
7.1 선분양
- 장점: 초기 자금 확보 용이
- 단점: 미래 시세 변동 리스크
7.2 후분양
- 장점: 실제 완공 후 시세 반영 가능
- 단점: 초기 자금 조달 어려움
8. 투명성 확보 방안
- 조합원 대상 정기적 설명회 개최
- 외부 전문가 검증
- 관리처분계획의 공개
9. 최근 트렌드
- 소형 평형 비중 증가
- 청약제도 변경에 따른 영향
- ESG 요소 고려 (예: 친환경 설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