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률

묻지마범죄 피해자 지원 제도: 우리 사회의 안전망은 충분한가?"알아보기

by 웃고보자 2024. 9. 6.
반응형

묻지마범죄 피해자 지원 제도: 우리 사회의 안전망은 충분한가?

묻지마범죄의 충격과 피해자의 고통

최근 성남에서 발생한 '최원종 사건'은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 20살 여학생이 무차별 폭행으로 뇌사 상태에 빠졌고

, 그 가족은 엄청난 병원비와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 이처럼 묻지마범죄는 피해자와 그 가족의 삶을 순식간에 무너뜨립니다

.

현행 피해자 지원 제도의 실태

범죄피해자 지원 제도는 국가가 범죄피해자의 신변보호, 경제

, 정신적, 법률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 하지만 현실은 어떨까요?


  1. 부족한 직접 지원: 범죄피해자 보호기금 사업 중 직접지원 사업 비율은 매년 20%대에 그치고 있습니다.
  2. 제한적인 치료비 지원: 범죄피해자 지원센터가 지급할 수 있는 치료비는 연 1500만 원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3. 만성적인 예산 부족: 지원 기관들은 만성적인 예산과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피해자 지원의 구체적 사례

최원종 사건의 피해자 A씨 가족의 경우:

  • 6일 입원에 1300만 원의 병원비 발생
  • 보험이 없는 상태
  • 추가적인 지원금 부재

이러한 상황은 피해자 가족에게 이중, 삼중의 고통을 안겨줍니다.

개선이 필요한 지점

  1. 기금 확대: 현재 벌금의 8%만을 기금으로 조성하는 방식에서 과태료, 범죄 이익 몰수금 등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확대해야 합니다.
  2. 직접지원 강화: 피해자 치료비, 생계비, 구조비 등 경제적 지원과 법률적 지원을 대폭 확대해야 합니다.
  3. 신속한 지원 체계: 긴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우리의 역할

묻지마범죄는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이는 단순히 개인의 불행이 아닌 사회적 문제입니다

. 우리는 이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제도 개선을 위해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

.
피해자 지원 제도의 개선은 우리 사회의 안전망을 강화하는 일입니다.

이는 우리 모두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 우리가 함께 노력한다면

, 더 안전하고 따뜻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
 

묻지마 범죄 피해자들이 받을 수 있는 직접 지원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치료비 지원

  • 5주 미만의 상해를 입은 피해자에 대한 치료비를 지원합니다.
  • 임상심리상담사 등 전문가로부터 받은 심리상담 서비스 비용을 실비로 지원합니다.

경제적 지원

  • 간병비: 피해자가 입원 치료를 받는 동안 간병할 가족이 없는 경우 간병비를 지원합니다.
  • 취업지원비: 피해로 인해 실직한 피해자의 재취업을 돕기 위한 비용을 지원합니다.

기타 지원

  • 긴급구호: 범죄 현장에서의 상담, 피해자 보호, 병원 후송, 가족 연락, 현장 정리 등 초기 대응을 지원합니다.
  • 신변보호: 보복범죄에 대비한 위치추적 등의 신변보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수사기관 및 법정 동행: 수사 과정이나 재판 과정에서 피해자를 동행하며 지원합니다.

상담 지원

  • 전화나 방문을 통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필요한 정보와 지원 제도를 안내합니다.
이러한 지원들은 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통해 제공되며, 피해자들은 범죄피해자 긴급구호전화(1577-1295)로 연락하여 가장 가까운 센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지원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치료비 지원은 연 1500만 원으로 제한되어 있어 중상을 입은 피해자의 경우 턱없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범죄피해자 보호기금 사업 중 직접지원 사업 비율이 매년 20%대에 그치고 있어, 실질적인 피해자 지원이 미흡한 실정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