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률

부당이득반환청구권 행사 시 이자 청구 가능 여부와 계산 방법 가이드"알아보기

by 웃고보자 2024. 9. 19.
반응형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특히 이자 청구가 가능한지, 그리고 어떻게 계산하는지 함께 살펴볼게요.

실제 예시도 들어가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뭐예요?

 

먼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뭔지 간단히 알아볼까요?

쉽게 말해서, 법률상 원인 없이 이익을 얻고 이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준 경우,

그 이익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해요.
예를 들어볼게요..

민수씨가 실수로 영희씨 계좌로 100만원을 잘못 송금했다고 해봐요.

이 경우 영희씨는 법률상 원인 없이 100만원을 얻은 거죠.

민수씨는 영희씨에게 이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어요.

이게 바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에요.

이자도 청구할 수 있나요?

 

"그럼 잘못 보낸 100만원만 돌려받으면 되는 거예요?"

라고 물으실 수 있겠네요.

실은 그렇지 않아요.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할 때 이자도 함께 청구할 수 있답니다
.

왜 이자까지 청구할 수 있을까요?

돈을 못 쓴 기간 동안의 손해를 보상받기 위해서예요.

민수씨가 100만원을 못 쓴 동안 영희씨가 그 돈을 이용해 이익을 얻었을 수도 있잖아요?

이자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자, 이제 궁금한 게 이자를 어떻게 계산하느냐겠죠
현재 기준으로 알려드릴게요.

  1. 먼저, 이자율은 연 5%예요.
  2. 이자 계산 시작일은 부당이득이 발생한 날부터에요.
  3. 끝나는 날은 실제로 돈을 반환받는 날까지예요.

계산식은 이렇게 됩니다:


부당이득금액 × 5% × (경과일수 ÷ 365)

실제 예시로 보는 이자 계산

자, 이제 민수씨와 영희씨의 예를 더 자세히 들어볼게요.

민수씨가 2024년 9월 1일에 실수로 영희씨에게 100만원을 보냈어요.

영희씨는 이를 10월 1일에 알게 되어 바로 돌려줬다고 해볼까요?

  • 부당이득 금액: 100만원
  • 이자율: 연 5%
  • 기간: 2024년 9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 (30일)

이자 계산:


1,000,000원 × 5% × (30일 ÷ 365일) = 4,109원따라서 영희씨는 민수씨에게 100만원에 4,109원을 더해 총 1,004,109원을 돌려줘야 해요.

 

마무리

 

어떠세요? 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 이자 계산에 대해 이해가 되셨나요

실생활에서 이런 일이 발생하면 당황하지 마시고, 이자까지 꼭 챙기세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송금할 때 계좌번호를 꼭 확인하는 거예요.

실수를 예방하는 게 가장 좋겠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