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우노와12864oled 연결
ㄱ아두이노 우노와 12864 OLED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먼저, 아래와 같은 연결 방식을 사용하여 아두이노 우노와 OLED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 OLED의 VCC 핀을 아두이노 우노의 5V 핀에 연결합니다.
- OLED의 GND 핀을 아두이노 우노의 GND 핀에 연결합니다.
- OLED의 SDA 핀을 아두이노 우노의 A4 핀에 연결합니다.
- OLED의 SCL 핀을 아두이노 우노의 A5 핀에 연결합니다.
2. 연결이 완료되면, 아두이노 IDE를 열고 다음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합니다:
- U8glib 라이브러리: O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아두이노 IDE에서 다음 단계를 따라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세요:
- 스케치(Sketch) 메뉴에서 라이브러리 포함하기(Include Library)를 선택합니다.
- 라이브러리 관리(Library Manager)를 클릭합니다.
- 검색 창에 "U8glib"를 입력하고, U8glib by Oliver 목록에서 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라이브러리가 설치되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하여 OLED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cpp
#include <U8glib.h>
U8GLIB_ST7920_128X64 u8g(13, 11, 10, 9, 8); // CS, CLK, MOSI, RST, A0
void setup() {
u8g.begin();
}
void loop() {
u8g.firstPage();
do {
u8g.setFont(u8g_font_ncenB14);
u8g.drawStr(0, 20, "Hello World!");
} while (u8g.nextPage());
delay(1000);
}
```
4. 코드를 업로드한 후, OLED에 "Hello World!"라는 텍스트가 표시될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아두이노 우노와 12864 OLED를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U8glib 라이브러리 외에도 다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OLED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라이브러리 중에서는 Adafruit SSD1306, Adafruit GFX, U8g2 등이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OLED를 더 쉽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Adafruit SSD1306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두이노 IDE를 열고, "라이브러리 관리" 메뉴를 선택합니다.
2. 검색 창에 "Adafruit SSD1306"을 입력하고, 라이브러리 목록에서 "Adafruit SSD1306 by Adafruit"를 찾아 설치합니다.
3. 설치가 완료되면, "예제" 메뉴에서 "Adafruit SSD1306" 예제를 선택하여 OLED를 제어하는 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dafruit GFX 라이브러리는 그래픽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로, Adafruit SSD1306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텍스트, 도형, 이미지 등 다양한 그래픽 요소를 OLED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U8g2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O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원하는 범용 라이브러리입니다. 다양한 표시 모드와 글꼴을 지원하며, 사용하기 쉽고 다양한 예제와 문서가 제공됩니다.
이 외에도 OLED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라이브러리들이 있으니, 필요에 따라 해당 라이브러리를 선택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각 라이브러리에 대한 자세한 사용 방법은 해당 라이브러리의 예제와 문서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아두이노우노와 12864oled연결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