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주요 단계:
- 호스팅 서비스 신청: 컴퓨터의 일부를 빌려주는 서비스로, 비용은 매월 몇 천원부터 몇 만원까지 다양합니다. 저렴하게 사용 가능하며 기본적인 컴퓨터 관리를 알아서 해줍니다. 단점은 저렴한만큼 성능이 낮고 안정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도메인 신청: 도메인 비용은 월 2만원에서 3만원 정도입니다. 도메인 종류에 따라서 더 저렴하기도 합니다.
- SSL 인증서 필요: SSL 인증서는 https로 접속 가능한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안적 강화를 위해 필요하며, SSL 인증서가 없으면 검색 순위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비용은 저렴한 것으로 몇 만원이 있고, 6만원 심지어 10만원 이상이기도 합니다.
- AWS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 사용: 새로운 기술에 대한 학습 때문에 두려울 수 있지만, 조금 용기를 내고 시도해 보시면 무료로 1년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는 정책상 처음 사용 유저에게 1년간 프리티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SSH 터미널 접속: 서버를 관리하려면 SSH 서비스를 통해서 해야 합니다. 이 SSH 터미널로 접속을 해서 텍스트 기반으로 서버를 관리하게 됩니다.
- PHP 설치: 아파치가 설치되어 있긴 하지만 아파치만으로 마이 sql을 다룰 수는 없습니다. PHP가 mysql을 제어하게 되어 있으며, 워드프레스 자체도 PHP를 필수로 요구합니다.
-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및 설치: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한 후 우분투사우퍼에 올려서 적용하는 것입니다. 우분투에서 새 사용자를 만들면 해당 사용자를 위한 공간이 나옵니다. 그 공간에다가 워드프레스를 올릴 것입니다.
이 모든 과정을 마치면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본 설정이 완료됩니다. 이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여 블로그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어렵고 자료도 부족하기 때문에, 이 과정을 천천히 따라가며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을 마치면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무료로 운영하는 방법을 완전히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경량의 형식입니다. 일반적으로 키-값 쌍의 집합으로 표현되며,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JavaScript에서는 객체 리터럴의 형태와 유사하며,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JSON은 가독성이 좋고 간단하며,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 매우 널리 사용됩니다.
XML은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다목적 마크업 언어입니다. HTML과 매우 유사하지만 더욱 유연하고 확장 가능합니다. XML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웹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다양한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 사용됩니다. XML은 태그로 둘러싸인 요소의 트리로 표현되며, 이러한 구조는 계층적이고 구조적으로 풍부한 데이터 표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JSON에 비해 문법이 더 복잡하고 가독성이 좋지 않으며, 데이터 크기가 크고 처리가 더욱 복잡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