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지원 혜택

중소도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참여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by 웃고보자 2024. 12. 25.
반응형

이 사업은 중소도시의 스마트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중요한 프로젝트입니다.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개요

2024년부터 시작되는 중소도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은 총 3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1.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 목적: 스마트도시 확산을 위한 거점 도시를 조성합니다.
    • 신청 자격: 특·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시·군이 응모 가능하며, 유사 목적의 사업에 선정된 지자체는 3년이 지나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지원 규모: 국비 최대 160억 원 지원 (지방비 1:1 매칭 조건).
  2.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 목적: 기후위기 및 지역소멸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시를 조성합니다.
    • 신청 자격: 인구 100만 이하의 특별자치시·도, 시·군, 자치구가 응모 가능합니다.
    • 지원 규모: 국비 최대 80억 원 지원 (지방비 1:1 매칭 조건).
  3.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
    • 목적: 효과성이 검증된 솔루션을 소도시에 보급하여 서비스 여건을 개선합니다.
    • 신청 자격: 인구 30만 미만의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단독으로 신청하며, 제주특별자치도 및 세종특별자치시는 인구 규모와 관계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 지원 규모: 국비 10~20억 원 지원 (지방비 1:1 매칭 조건).

참여 방법

1. 사업계획서 준비

신청하고자 하는 지자체는 사업계획서를 준비해야 해요. 이 계획서에는 해당 도시의 스마트시티 조성 목표와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2. 신청서 제출

각 지자체는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종합 포털이나 관련 사이트를 통해 신청서를 제출해야 해요. 제출 시 유의해야 할 점은 유사한 목적의 사업에 선정되었던 지자체는 일정 기간 내에 재신청이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3. 사전 컨설팅

신청 전에 사전 컨설팅을 받을 수 있어요. 이를 통해 사업 설명서 작성 및 필요한 자료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 문의하면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평가 및 선정

제출된 신청서는 평가 과정을 거쳐 최종 선정됩니다. 평가 기준은 사업의 필요성과 실행 가능성 등 여러 요소를 포함합니다.

추가 정보

  • 각 지자체는 사업 설명회에 참석하여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질의응답을 통해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나 스마트시티 종합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이렇게 중소도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에 참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의 도시가 더 스마트하고 살기 좋은 곳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