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대비
벌써 덥고 습하내여 음식관리가 점점 더 어려워지기 시작하네여
그런 의미에서
식품에 표기된 다양한 날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조일자:
식품이 제조된 시점을 의미하며 변질이나 부패의 우려가 낮은 식품에 주로 표기됩니다.
유통기한:
소비자에게 유통, 판매되는 기간으로 대부분의 식품에 허용됩니다.
품질유지기한:
제품의 품질이 유지되는 기간으로 장기간 보관해도 괜찮은 식품에 표기되며
소비기한 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기간입니다.
소비기한:
영국, 호주 등에서 사용되며
소비자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기간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유통기한은 품질 변화 시점의 60-70%,
소비기한은 80-90% 앞선 시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통기한을 조금 초과해도
보관이 제대로 이루어졌다면
품질 변화에는 문제가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대표적인 식품:
식빵:
냉장보관 시 유통기한을 지나도 약 20일간 섭취 가능.
달걀:
냉장보관 시 유통기한 후 25일까지 섭취 가능.
냉동만두:
냉동 보관 시 유통기한 후 25일까지 섭취 가능.
액상커피:
냉장보관 시 유통기한 후 30일까지 섭취 가능.
우유:
냉장보관 시 유통기한 후 50일까지 섭취 가능.
치즈:
냉장보관 시 유통기한 후 70일까지 섭취 가능.
시리얼:
적절한 보관 시 유통기한 후 최대 81일까지 섭취 가능.
두부:
냉장보관 시 유통기한 후 최대 90일까지 섭취 가능.
라면:
적절한 보관 시 유통기한 후 최대 240일까지 섭취 가능.
참치 통조림:
적절한 보관 시 유통기한 후 최대 10년까지 섭취 가능.
이런 식품들은 적절한 보관 조건을 만족할 때
유통기한이 지나도 섭취가 가능합니다.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변질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10일 양기충만한 날 단오 알아보기 (2) | 2024.06.09 |
---|---|
고르기 힘든 물티슈 알아보기 (2) | 2024.06.09 |
제사 명절 에 지방 쓰는법 알아보기 (2) | 2024.06.08 |
멘탈력 강화 심리적 평온함 유지비결 (0) | 2024.06.08 |
장례식장 지켜야 할 예절 준비사항 (2) | 2024.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