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제사 명절 에 지방 쓰는법 알아보기

by 웃고보자 2024. 6. 8.
반응형

지방의 정의

  • 지방(紙榜): 돌아가신 분의 위패를 대신하여 종이에 적어 제사 때 사용하는 것. 종이로 만든 신주.

지방의 구성

  • 현고(顯考): 돌아가신 아버지
  • 현비(顯妣): 돌아가신 어머니
  • 조고(祖考): 돌아가신 할아버지
  • 조비(祖妣): 돌아가신 할머니
  • 증조부(曾祖考): 증조할아버지
  • 증조비(曾祖妣): 증조할머니
  • 망부(亡夫): 돌아가신 남편
  • 망실(亡室): 돌아가신 아내

명칭과 한자

  • 학생(學生): 벼슬을 하지 못한 남자
  • 유인(孺人): 벼슬하지 못한 남자의 아내
  • 부군(府君): 조상님을 높여 부르는 말
  • 신(神): 신령이 의지할 자리

지방 용지 규격

  • 크기: 보통 6cm x 22cm
  • 윗부분은 둥글게, 아랫부분은 네모지게 잘라줍니다.

지방 쓰는 법

  1. 아버지 지방: 顯考 學生府君神位 (현고 학생부군신위)
  2. 어머니 지방: 顯妣 孺人 김氏神位 (현비 유인 김씨신위)
  3. 할아버지 지방: 祖考 學生府君神位 (조고 학생부군신위)
  4. 할머니 지방: 祖妣 孺人 李氏神位 (조비 유인 이씨신위)
  5. 증조할아버지 지방: 曾祖考 學生府君神位 (증조부 학생부군신위)
  6. 증조할머니 지방: 曾祖妣 孺人 崔氏神位 (증조비 유인 최씨신위)
  7. 남편 지방: 亡夫 朴公神位 (망부 박공신위)
  8. 아내 지방: 亡室 孺人 崔氏神位 (망실 유인 최씨신위)

예시

  • 아버지: 顯考 學生府君神位 (현고 학생부군신위)
  • 어머니: 顯妣 孺人 김氏神位 (현비 유인 김씨신위)
  • 할아버지: 祖考 學生府君神位 (조고 학생부군신위)
  • 할머니: 祖妣 孺人 李氏神位 (조비 유인 이씨신위)
  • 남편: 亡夫 朴公神位 (망부 박공신위)
  • 아내: 亡室 孺人 崔氏神位 (망실 유인 최씨신위)

기타 사항

  •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지방은 태웁니다.
  • 지방을 쓸 때는 진심을 담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한글로 써도 되는지는  나도 아직 어려서 잘 모르겠음 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