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전기요금 인상 추진을 공식화했다.
그는 2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기요금 인상을 할 것”이라며
“시점 문제”라고 밝혔다.
안 장관이 공식 석상에서
전기요금 인상 추진 계획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안 장관은 구체적인 요금 인상
시점과 관련해 “폭염 기간이 지나고 최대한 빠른 시일 내”
라고 했다.
전기요금은 분기별로 조정되는데,
이르면 오는 4분기에 올리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과거 정부는 전력 수요가 큰 여름철에 전
기요금을 올리는 걸 꺼렸다.
여름에 인상하면 국민의 체감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기자가 “4분기에 올릴 가능성이 몇 퍼센트인지”라고
묻는 말에 안 장관은 “찍어서 말씀 못 드린다”며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부는 전기요금 인상으로
자칫 물가를 자극할지 걱정한다.
전년 동기 대비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3월 3.1%에서 6월 2.4%로 안정화했지만,
7월 2.6%로 소폭 상승했다.
연말엔 관련 수치가 2% 초·중반으로
낮아지도록 목표하고 있다.
전기요금을 얼마나 인상할지에 대해
안 장관은 “웬만큼 정상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안 장관이 ‘정상화’라는 표현을 쓴 건
현재 전기요금이 비정상적으로
싸다는 문제 의식을 갖고 있어서다.
전력 소매상인 한전은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매해 연간 단위 기준으로 사실상 ‘밑지는 장사’를 해왔다.
국제유가 상승 등 요금 인상 요인이 컸지만,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정부가 인위적으로 눌렀기 때문이다.
물론 정부가 2022년 2·3·4분기와 지난해 1·2·4분기에 전기요금을 올린 덕분에 한전은 올해 가까스로 역마진 구조를 벗어나긴 했다. 그러나 한전의 40조원대 누적적자와 200조원대 부채를 해소하기 위해선 추가적인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게 정부의 시각이다. 한전이라는 기업 하나만을 위해서가 아니다. 한전이 떠안은 빚더미는 결국 국민이 부담할 수밖에 없다. 그 부담은 최대한 빨리 털어내는 게 유리하다. 갈수록 이자비용 등이 붙기 때문이다. 한전이 지난해 쓴 이자비용은 4조4000억원에 달한다.
안덕근 산업장관 "전기료 올린다, 최대한 빨리" 첫 공식 발언
777 더 자세한 내옹은 아래링크로!~~~
'각종지원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운영 초기에 피해야 할 실수들"알아보기 (2) | 2024.08.30 |
---|---|
온라인 쇼핑몰 창업 시 알아야 할 세금 절약 방법"알아보기 (1) | 2024.08.30 |
에어컨 전기세가 확다운되는 복사냉각 페인트"자세히 알아보기 (1) | 2024.08.27 |
광복절 전날 '일제 미화 영상' 튼 교사…수업∙업무 배제 징계"알아보기 (0) | 2024.08.20 |
하루 23시간 코르셋 착용”… 세계에서 가장 허리 얇은 86세 여성, 건강엔 괜찮나?알아보기 (0) | 202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