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제사 절차 요약
- 강신:
- 제사 시작 전, 땅에 술을 부어 신을 부르는 절차.
-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땅에 세 번 부음.
- 강신이 끝나면 제주는 재배를 함.
- 참신:
- 제사 참여자들이 신에게 두 번 절을 함.
-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현대에는 남녀 모두 재배를 하기도 함).
- 초원:
- 첫 잔을 올리며 주문을 읽음.
- 집사가 술을 따르고 잔을 올림.
- 매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 가운데 꽂음.
- 독촉:
- 축문을 읽음.
- 축문 읽기가 끝나면 재배를 함.
- 아헌:
-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
- 종부나 근친 자가 올리며, 주부가 하기도 함.
- 종헌:
-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
- 문중 어른이나 특별한 사유가 있는 사람이 올림.
- 술을 절반만 따름.
- 유식:
- 조상에게 밥을 권하는 절차.
- 개반: 밥 뚜껑을 열음.
- 삽시: 숟가락을 밥에 꽂음.
- 천작: 술을 세 번 나눠 따름.
- 재배: 두 번 절함.
- 합문:
- 조상이 식사하는 동안 문을 닫거나 몸을 돌림.
- 약 90경 동안 기다림.
- 계문:
- 조상이 식사를 마쳤다는 신호를 줌.
- 헛기침이나 인기척을 냄.
- 헌다:
- 숭늉 또는 차를 올림.
- 숭늉에 숟가락을 담가 둠.
- 계복:
- 밥 뚜껑을 닫음.
- 낙시:
- 수저를 내려 가지런히 시접에 담음.
- 사신:
- 조상을 보내는 절차.
- 남자는 재배, 여자는 사배.
- 분축:
- 지방과 축문을 태움.
- 철상:
- 제사 음식을 내림.
- 술을 병에 담아 복주를 만듦.
- 음복:
- 제사 음식을 나눠 먹음.
- 철상 후 제사 참여자들이 함께 음복을 나눔.
이 절차를 참고하여 제사를 지내시면 됩니다. 제사는 가문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각자의 전통을 존중하며 진행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이로운 음료 차 알아보기 (0) | 2024.08.02 |
---|---|
김재중 "재물 쌓이게 한 '뱀식탁' 국내엔 GD와 나 2명만 갖고 있다" ('편스토랑')알아보기 (0) | 2024.07.28 |
농지 취득자격증명 발급 관련 요령 (0) | 2024.07.28 |
양파를 효과적으로 보관하는 방법"알아보기 (0) | 2024.07.27 |
의성한방병원 - 도봉구 최고의 한방치료!'알아보기 (0) | 2024.07.26 |